"화"나 "짜증"에 무뎌지고 싶나요?
가족에게 짜증내고 친구에게 화내는 자신이 싫어서 “분노”라는 감정 자체를 아예 느끼지 않고 싶을 때 가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화를 억누르거나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억누르는 데에 쏟은 에너지 자체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또 큰 분노가 생길 수 있거든요. 이 글에서는 화나 짜증을 무뎌지게 만드는 방법을 명상 관점에서 정리해보았습니다.
한겨레 기사 | “나중에 생각하기로 하자”…감정 다스리는 세가지 방법
화·짜증의 감정 자체를 없애려는 시도의 한계
-
어떤 감정이든 억누르거나 회피하면 심리적으로 더 증폭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분노 감정 자체를 없애면 일시적으로 감정이 무뎌지는 ‘무감각 또는 회피’ 상태가 생길 수 있지만, 오히려 이후 더 강한 감정 폭발로 돌아오는 일이 잦습니다.
-
진정한 해결책은 ‘감정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안전하게 바라보고 흘려보내는 것입니다.
명상이 분노를 받아들이고 흘려보내는 원리
-
명상은 특정 감정을 느끼지 않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무심하게 관찰하면서 견고하게 흔들리지 않는 ‘내면의 중심’을 기르는 훈련입니다.
-
연구에서도 8주간의 마음챙김 명상을 꾸준히 실천한 이들은 뇌의 ‘공포·분노 중추’(편도체)가 현저히 덜 활성화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즉, 감정의 자동적 폭발에서 자연스럽게 벗어나게 됩니다.
-
명상의 핵심: 감정(분노, 짜증)이 올라오면 그 감정 자체를 억누르지 않고, 심장 뛰는 소리, 호흡, 몸 감각 등으로 관심을 옮기면서 그저 '관찰'하는 연습을 반복합니다.
실제 따라 해 볼 수 있는 명상법
여기 분노와 짜증에 대한 감각 자체를 무뎌지게 돕는 대표적인 명상법을 소개합니다.
유명 유튜브 명상 채널과 심리전문가들이 실제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10~15분 마음챙김 호흡 명상
-
조용히 앉아, 뜨거워지는 분노·짜증이 올라올 때마다 호흡에 집중합니다.
-
감정 ‘자체’에 집중하지 않고, 단순히 “감정이 올라오는구나, 지나가고 있구나”라고 ‘관찰’만 하며 나를 거기서 분리시켜 봅니다.
바디 스캔과 감각 관찰
-
분노·짜증을 느낄 때, 그 감정을 몸의 어느 부위에서 느끼는지(가슴 답답함, 어깨의 긴장 등) “스캔”합니다.
-
마음속에서 "나는 분노를 느끼는 중이야. 이 감정이 내 몸 어딘가에 흐르고 있구나."라고 인정하고, 억지로 없애지 않고 편안히 두세요.
-
꾸준히 하다 보면 감정을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힘’이 생깁니다.
감정 명칭 짓기 & 내버려두기
-
화가 치밀 때 ‘화났다’고 솔직히 마음속으로 명칭 짓고, 그 감정을 억누르거나 바꾸려 하지 말고(판단 없이) 그냥 흘려보냅니다.
-
습관적으로 반복하다 보면, 예전처럼 감정에 지배당하는 대신 한 발짝 떨어져 바라보는 ‘관찰자’의 입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용서/친절 명상(러빙-카인드니스)
-
나 스스로와, 분노를 느끼게 한 상대방까지도 ‘행복하길 바랍니다’라고 마음속으로 구절을 반복해 줍니다.
-
신기하게도 짜증·분노의 질감이 점차 엷어지고 ‘연민’이 생깁니다.
추천 유튜브 영상
마무리
화와 짜증의 감각을 없애고 싶다는 갈망 뒤에는 ‘상처받기 싫은 마음’이 있습니다.
온전히 감정을 느끼면서도 ‘나’를 잃지 않는 힘,
바로 명상이 도와줄 수 있습니다.
억누르는 게 아니라, 감정조차 관심을 두지 않는 참된 무심(無心)!
작은 실천부터 시작해보세요.
모든 감정은 결국 머물지 않고 떠나갑니다.
“감정은 억누를수록 강해진다. 대신, 그대로 바라보며 흘려보낼 때 마음은 점점 평정심을 회복한다.”
– 명상 전문가들의 조언
지금, 10분만이라도 해보세요. 당신은 이미 변화를 시작한 것입니다.